코딩테스트/연습문제
[프로그래머스 | JS] lv.1 예산
blueprint-12
2023. 5. 4. 18:00
[문제 설명]: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담은 배열 d와 전체 예산 budget을 매개변수로 준다.
전체 예산은 정해져있고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줄 수는 없으며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.
[제한 사항]
- 전체 부서의 개수는 1이상 100이하 => i = 0; d.length < 100 까지
- d의 각 원소는 부서 별로 신청 금액이다. 1이상 100,000이하의 자연수 (양의 정수)
- budget 1이상 10,000,000 이하의 자연수 (양의 정수)
[문제 풀이 방법]
- 배열의 원소가 랜덤으로 들어가 있지만 양의 정수라는 점을 고려하여 작은 원소부터 budget에서 삭감해가면 최대한 많은 부서의 지원이 가능 => array.sort() 를 활용하여 오름차순 정렬
- array.sort() 의 기본 콜백은 오름차순 정렬이 아니라 문자열 순서대로 정렬되는 것이므로 콜백함수의 인자를 활용하여 오름차순임을 명시해줘야 한다. (a,b) => a - b
- 오름차순 정렬된 배열 d를 for문에 위의 범위로 순회하면서 budget이 0이되는 시점에 break; 후, answer를 return 한다.
- 처음에는 sort()한 배열에 reduce를 사용하려고 했으나 early return이 불가능, 즉 배열의 끝까지 전부 순회해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. 또한, break도 안된다. early return 을 하려면 reduce의 4번째 인자인 arr전체를 splice()를 통해 조작하여 하는 방법이 있으나 for문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판단되어 변경
- 현재 d[i] 와 남은 budget의 값이 동일할 경우 return 해줘야 하는 값에 대해 쓸데 없는 분기가 발생하여 answer과 sum 변수를 생성함
function solution(d, budget) {
let answer = 0;
let sum = 0;
d.sort((a, b) => a - b);
for (let i = 0; i < d.length; i++) {
answer++;
sum += d[i];
if (sum > budget) {
answer--;
break;
}
}
return answer;
}
// console.log(solution([2, 2, 3, 3], 10)); 디버깅용
[다른 사람 풀이]
1. while과 reduce, pop() 조합을 쓴 솔루션도 있었지만 while의 조건식에서 reduce를 계속 호출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음
2. while의 조건식으로 내가 변수로 빼놓은 sum과 budget을 비교하여 true가 된 시점까지 index를 증가시켜주고 sum인 `answer + d[index] `가 budget 보다 커졌을 경우, 조건문을 종료하고 index를 return 하는 식을 발견했고 내 식보다 깔끔하고 명시적으로 보인다. index를 로컬 변수로 잡는 것을 생각하지 못했다.
function solution(d, budget) {
let answer = 0;
let index = 0;
d.sort((a, b) => a - b);
//while을 사용하지만 내부적으로 reduce를 사용하지 않기 떄문에 이 코드가 더 효율적으로 보인다.
while (answer + d[index] <= budget) {
answer += d[index];
index++;
}
return index;
}